본문 바로가기

건강, 웰빙정보/노인성질환

치매, 최초증상 나타날때까지 15~20년 잠복 진행

 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 "예방 무엇보다도 중요" 강조

치매조기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홍보는 물론 지원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치매 예방을 위한 관리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주최로 21일 서울대병원 임상의학연구소에서 열린 '치매 예방 및 조기개입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강원대학교 주진형 교수는 치매 예방의 중요성을 피혁하고 치매의 조기 검진에 대한 열악한 환경에 아쉬움을 전했다.

주 교수에 따르면 치매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이미 뇌에서는 치매 관련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예방이 그만큼 중요하다.

치매의 일반적인 경과를 보면, 무증상기에서 최초증상기, 증상기로 나눌 수 있다. 최초증상기에서 인지능력 감퇴나 행동증상 등의 장애가 오는데 무증상기에서부터 인지감퇴를 보이기까지 15~20년이 걸린다.

2006년부터 치매조기검진사업 실시..비용 무료

따라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질병인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뒤늦게나마 한국치매협회가 복지부와 함께 지난 2006년부터 치매조기검진사업을 실시해 오고 있다.

이 사업은 65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지정된 보건소에서 검진을 받고 치매가 의심될 때는 서울대병원 등 지역 거점병원의 전문의로부터 정밀검사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모든 비용이 무료이다.

다행인 것은 2006년 당시만 해도 19개 보건소와 16개 거점병원이 선정됐었으나 2007년에는 87개소의 보건소와 60개소의 거점병원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치매 유병율이 10%임을 감안할 때 아직 조기검진을 위한 시스템이 부족한 상태다.

주 교수는 "암이나 심혈관 예방사업을 위한 투자에 대해서는 대부분 이의제기를 하지 않는다"면서 "그러나 치매 예방사업을 위한 투자에 대해서는 쉽사리 반영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같은 이유는 치매라는 질병이 고혈압이나 당뇨 같이 약물이나 수술 등을 통해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

투자를 얻기 위해서는 그만한 근거를 제시해야 하지만 치매는 예방할 수 있다는 뚜렷한 자료가 아직까지는 부족하고 치료에 관한 경과를 고혈압이나 당뇨 질환처럼 계량화 해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 관련 인사들을 설득하기 어렵다고 전한다.

현재 연간 8억 5천만원의 지원을 받고 있으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인건비로 상당 부분 지출되기 때문에 양질의 자료를 만들기도 어렵다고.

그는 "일부 지자체에서는 약값을 지원해 주거나 재활프로그램을 제공, 주간보호시설과 연계하는 등 모범적으로 치매 예방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사업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예산 책정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치매 환자 1인당 비용 연간 787만원

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강임옥 박사의 조사에 따르면 실질 소득에 근거한 치매환자 1인당 비용은 연간 평균 787만3,000원이다.

무직이거나 전업주부의 경우는 소득이 없는 경우로 계산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이보다 훨씬 더 높다는 것이 강 박사의 설명이다.

따라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줄이고 유병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치매의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

▲유형준 회장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는 한국노년학회, 한국노화학회, 대한노인병학회, 대한노인정신의학회로 총 4개 학회가 연합해 학제간 경계선을 넘어선 학술연구교류로 연구 효과의 극대화를 기하기 위해 탄생한 비영리 전문가 단체이다.

노인 복지를 위한 정책 개발을 위해 ▲노인생활 실태조사 및 노인복지정책대안 개발 ▲노인복지를 위한 각종 지식 및 정보자료의 수집과 보급 ▲노인문제와 관련된 학술세미나 개최 및 관련 출판물 발간 ▲노인복지종사자의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메디파나뉴스 2008.08.22 07:00

http://www.medipana.com/news/news_view.asp?CateCodeF=B&CateCodeS=04&NewsNum=28852&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