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웰빙정보/의료, 건강, 운동정보

황반변성, '모르는 사이에 실명될라...'

경비원 강 모(62)씨는 요즘 헛것을 자주 본다. 어제는 아파트 순찰을 돌며 차량번호를 확인하는데 차량 한대의 번호판이 검정 페인트칠을 한 것처럼 시커멓게 보였다. 또 얼마 전에는 길을 건너는데 반듯하게 그어진 횡단보도가 구불구불하게 보여 걸음을 멈췄다. 강 씨는 이런 일이 생길 때마다 안경을 바꿔봤지만 증상은 더 자주 나타나고 있다.

강 씨는 황반변성을 앓고 있다. 황반변성은 단순 노안 증상으로 착각하기 쉬운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층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졌으며, 미국에서는 연간 1000만 명 이상에게서 발병한다.

황반변성은 녹내장, 당뇨성 막망증과 함께 3대 후천적 실명질환으로 꼽힌다. 수술을 해도 한 번 잃어버린 시력을 회복할 수 없는 무서운 병이다.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과 습성 두 종류로 분류한다. 건성의 경우엔 당장 시력상실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습성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습성이면 시력을 되돌릴 수 없고 증상이 악화돼 100% 실명한다.

김만수 가톨릭대 강남성모병원 안과 교수는 “백내장은 수술로 걷어내면 시력이 회복되지만, 황반변성으로 한 번 없어진 시력은 어떤 방법으로도 되돌릴 수가 없다”고 말했다.


▲ 조기진단이 최선책

황반변성이 상당히 진행되면 △직선이 굽어져 보이거나 △글자체가 흔들려 보인다. 또 △글자를 읽을 때 공백이 보이고 △그림의 한 부분이 지워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특히 △물체의 섬세한 부분이 안 보이거나 △물체가 찌그러지고 변형돼 보이는 증상이 잦아진다.

강세웅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환자들 대부분이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불편을 느낄 때 병원에 온다”며 “이런 경우엔 병이 많이 진행된 상태에다가 진행속도도 매우 빨라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황반변성은 조기 진단이 최선책인 셈이다.

40대 이후에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등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는 정기적인 안과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황반변성은 유전적인 영향도 받기 때문에 가족 중에 황반변성이 환자가 있을 때에는 적어도 2년에 한 번씩 안과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틈틈이 바둑판처럼 생긴 ‘암슬러 격자’를 이용해 자가진단 하는 방법도 있다.

매일경제  2008.11.04 13:16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8&no=672375